한밤의 도서관

꿀벌과 천둥

uragawa 2017. 10. 7. 11:23

‘연주할 수 있는’ 것과 ‘연주하는’ 것은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다. 너새니얼은 둘 사이에 깊은 골이 있다고 생각한다.
까다로운 것은 ‘연주할 수 있어서’ 연주하는 사람 중에도 ‘연주하는’ 재능이 숨어 있을 때가 있고, ‘연주하는’ 일에 열의를 불태우는 사람이라도 마음이 헛돌아 실속 없는 사람이 있다는 점이다. 둘 사이의 골은 깊지만 거기에 골이 있다는 것만 알면 우연한 계기를 통해 골을 뛰어넘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콩쿠르는 기묘한 행사지만 재미있다. 이렇게 많은 소리에 젖을 수 있다니 꿈만 같다.
소리에 젖는다, 소리가 몸속으로 퍼져나간다, 음악을 들이마시고 내뱉고, 몸속에 머금었다가 밀어낸다……. 그러다 보면 시간의 감각이 사라지고 마음은 언제나 어디론가 날아간다.



내 일에 그토록 행복을 느껴본 적이 있었을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들어 저도 모르게 쓴웃음을 지었다. 이것이 나의 직업이라는 확신은 있지만 그래서 행복한지 불행한지 생각해본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은하계 변두리 어딘가에 지구하고 비슷한 조건의 별이 있고, 비슷한 공기에 음파도 비슷하게 전달된다면 역시 음악이 발달하지 않을까? 그러면 비슷한 악기가 발달할 테고, 피아노 같은 무언가를 은하 어디선가 열심히 연주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잖아.”
“음, 글쎄.”
마사루는 잠시 걸음을 멈추고 생각에 잠겼다.
“가능성은 있겠다. 그러면 그 별에도 모차르트나 베토벤이 있을지 몰라.”
“아하하, 그럴지도.”
“악보가 탐나는데. 모차르트나 베토벤의 곡이라면 얼마든지 갖고 싶어.”
“응, 탐나네.”
우주 저편, 또 한 명의 모차르트. 그것은 어떤 음악일까?
구름 사이로 나와 수평선을 비추는 빛이 하나의 길을 그렸다.



미에코는 새삼 음악을 연주하는 건 손가락이 아니라 마음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바야흐로, 바야흐로 우리는 더없이 넓은 곳으로 나간다.
이제는 되돌아갈 수 없다. 어제까지의 나는 더 이상 없다.
지금까지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역경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환희 또한 어디선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터였다.
우리는 그것을 알고 있다. 모두가 확신하고 있다. 앞으로의 내가, 나의 인생에 목청껏 “예스!”를 외치리라는 것을.



갑자기 두려워졌다.
음악가란 직업의 무게, 그것을 생업으로 삼는다는 의미.
생업生業이라니 이렇게 딱 맞아 떨어지는 표현이 또 있을까?
실로 이것은 업, 살아 있는 업이다. 허기를 채워주는 것도 아니다. 무엇이 남는 것도 아니다. 그런 대상에 인생을 걸다니 업이 아니면 무엇이겠는가.
그런 사람들이 이곳에 이렇게나 많다. 여기뿐만 아니라 홀 밖에도, 도시 안에도, 세상 곳곳에도.
기묘한 기분이었다.
이토록 험한 길을 고르고 말았다.
등줄기가 서늘하게 식고 숨이 갑갑했다.
하지만 나는 선택하고 말았다. 그 길은 험난하지만 그곳에서만 얻을 수 있는 환희로 가득하다.



아야는 맥이 풀렸다.
나는 이렇게 할 거야. 이렇게 하고 싶어, 이런 것도 할 수 있어, 아아 이런 식으로 해도 되는구나. 호흡하듯 당연하게, 음악을 만들어도 되는 구나.
자연스러운 깨달음을 곱씹으니 온몸이 홀가분해진 기분이었다.
음악에는 역사와 굴레도 있지만 동시에 항상 갱신되는 신선함도 내포되어 있다. 그건 내가 조금씩 찾아가면 된다. 누구와 영합할 필요 없이 고민하면 된다. 그리고 내 손가락으로 실천하면 된다.



사람의 호흡은 ‘들이쉬고 내쉬는’ 게 아니라 ‘내쉬고 들이쉬는’ 게 기본이라고 한다.
갓난아이는 이 세상에 태어날 때 큰 소리로 운다. 태어날 때 먼저 ‘내쉬는’것이다.
그리고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는 조용히 ‘숨을 거둔다’. 마지막에는 ‘들이쉬는’ 것이다.